에서 집중 분석해본다.
▶수능 쇼크 - 이해찬 1세대는 잘못된 실험?
어려운 수능에 대한 반발과 난이도의 혼란에 대한 비판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 이른바 이해찬 1세대로 불리고 있는 수험생들은 수능쇼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한 반에서 절반이상이 재수를 결심하고 있으며, 그 중 대다수는 이번 수능이 어려워서 재수를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단군이래 최저 학력이라는 사회적 비아냥거림에 대해 그들은 '단군이래 최대분노'를 드러내고 있다.
다양한 입시전형에 대비해서 컴퓨터와 발명에 치중했던 고1,2 학생들은 이제 다시 입시과목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난 2년동안 있어왔던 클럽활동과 사회봉사는 이제 남의 일이 되었다.
과연 이해찬 전 교육부 장관이 공언한 '쉬운 수능과 다양한 입학전형의 도입'은 잘못된 실험인가? 우리는 이 문제를 정면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난이도의 문제가 아니라 정책대립의 문제다
이번 수능이 어려워진 것은 단지 난이도 조절 실패가 아니다. 이해찬 교육정책이 가져온 부작용을 이유로, 지난 한 해 동안 서울대를 중심으로 한 명문대학들은 쉬운 수능에 대해 극렬한 반대감정을 드러냈다. 본고사를 부활하자거나 고교등급제를 실시하자거나 하는 등의 입시안을 흘리면서 수능출제위원들을 압박해왔다.
심지어 일부 명문대학에서는 올해 실시된 수시모집에서 수능 점수에 따른 고교별 학력차를 참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올해 어려워진 수능에 대해 명문대학의 입학처장들은 반기는 입장이었다.
이해찬 교육정책에 대한 반발은 일부 언론에서 더욱 증폭시켰으며, 이러한 현상은 명문대학들이 다양한 입시전형에 대한 개발보다는 '성적으로 한 줄 세우기 수능시험'에 안주하려는 것으로 보완되었다.
현재의 수능 쇼크는 결국 '수능 비중을 축소하고 다양한 입시전형을 도입해서 고교 교육을 정상화시킬 것인가' 아니면, '성적 중심의 수능을 잣대로 사용하면서 과거로 퇴행할 것인가'의 문제다.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한 사회의 전면적인 공론화를 요구한다.
▶불안한 실험 - 자립형 사립고, 7차 교육 과정
2002년부터 2003년까지 5개의 자립형 사립고가 점차적으로 시범 운영된다. 전교조는 이 학교가 귀족형 입시 명문고로 변질될 것이라면서 전면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에게 다양한 교육의 선택권을 주고, 사교육비가 엄청난 교육시장에서 사교육을 공교육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또한 올해부터 시행에 들어간 수준별 수업과 2005년 입시부터 반영되는 선택형 수업 또한 학생들을 우열로 나눠서 열등감을 느끼게 하고, 선택과목이 입시 과목으로 정해지는 변질의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실험들이 현재의 입시정책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수능비중의 축소와 다양한 입시전형의 개발'이라는 '멀지만 기어코 가야할 길'과 어떤 연관이 있는 지 추적했다.
기획 : 최진용(시사제작 3CP)
연출 : 노혁진·최병륜·조능희·오상광·이근행·장형원 / 한학수·김현철(789-3712∼3, 789-3345∼7, 3828)
작가 : 노경희·전재홍·강정화(789-3306∼9)
홍보 : 김소현(789-2722)